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비쿼터스개론 12
    유비쿼터스개론 2023. 2. 7. 21:45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 분야로서 RFID/USN 보안 기술, 홈 네트워키 보안 기술, 스마트폰 보안 기술, 웹서비스 보안 기술,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 등이 필요하다. 

     

    7.1 RFID/USN 보안 기술

     RFID 시스템에서 보안 문제를 고려한다면, 태그에 부여하는 정보의 양과 질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고기능 시스템의 경우 나름대로의 인증과 암호화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지만, 태그의 경우는 어떠한 리더의 요구에도 응답하게 된다. 가장 보편적인 해결 방안으로는 태그와 리더가 주고받는 신호를 도청하는 것을 막는 방법 등이 있다. 센서 네트워크 정보보호 기술 개발은 각 발전 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센서 노드, 전송 메커니즘, 센서 OS, 응용 서비스의 자원들을 파악하여 개발 초기단계부터 보안 기능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즉 공격 위협을 조기에 찾아내고 방지할 수 있는 보안 관리와 서비스 거부 공격에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수적이다. 센서 네트워크의 정보보호 기술은 크게 센서 노드에 대한 보안, 보안 라우팅과 정보 집합, 키 관리 및 인증, 보안 프로토콜 기술로 분류될 수 있으며, 키 관리와 인증은 센서 노드의 제한적인 컴퓨팅 능력을 고려한 대칭키 기반의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7.2 홈 네트워킹 보안 기술

     홈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은 크게 2계층 인증과 방화벽/접근제어, 가상 사설 통신망 등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2계층 인증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부분, 즉 장비와 ㅅ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구해 내부적인 보안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이다. 방화벽/접근제어는 내부 서버들이 접속하는 부분, 원격 사용자의 검색을 위해 보통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방화벽을 설치해 목적에 맞게 동작을 구현시킨다. 한편 가상 사설 통신망은 회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원거리 접속 솔루션이다. 이와 같은 기본 보안 영역을 고려한 홈 네트워크 보안 기술은 홈 서버, 홈 게이트웨이, 댁내,외부 홈 네트워크, 정보 가전기기로 나뉘어 통합적으로 개발, 응용되어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보장해야 한다.

     

    7.3 스마트폰 보안 기술

     스마트폰은 무선 접속환경의 개방성, 휴대성 등으로 기존 PC 환경의 보안 위협과는 다른 새로운 보안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안전한 스마트폰 서비스 환경을 보장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에 대해 선제적 방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말 내부 보안기술과 더불어 원격 보안 관리, 안전한 결제 서비스 지원 및 앱 스트어를 통해 배포되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검증 등의 기술이 필요하고, 국내외적으로 스마트폰 서비스 보안 인프라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7.4 생체인식 기술

     생체인식이란 개개인마다 평생 변하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다른 신체적,행동적 특징을 찾아 자동화된 수단으로 등록하여, 이후 제시한 정보와 패턴을 비교 검증하고 식별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연구된 생체인식 기술로는 안면 모양, 홍채, 망막, 정맥, 손모양, 지문, DNA 등의 신체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과 서명, 음성, 걸음걸이 등의 행동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7.5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

     디지털 콘텐츠는 원본과 복사본의 품질이 동일하고, 콘텐츠에 대한 수정이나 복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어디라도 짧은 시간 내에 전파 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손쉬운 접근과 배포를 가능하게 하여 디지털 콘텐츠 시장 활성화와 같은 순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불법복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안된 기술이 디지털 저작권 관리이다. 이는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지정된 사용자에게 허가된 범위 내에서 콘텐츠를 사용하게 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안전하고 투명한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은 인터넷 방송, 모바일 기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 서비스, 문서 보안 등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성장할수록 이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의 발전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며, 디지털 저작권 관리의 적용이 상업적 콘텐츠 뿐만 아니라 비상업적 콘텐츠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콘텐츠를 정당한 권리를 가진 사용자에게만 안전하게 전송하고 허가된 사용 범위 내에서 사용하게 제한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불법으로 콘텐츠가 복제되어 유포되었을 떄,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자가 누구인지를 증명하고 어떤 경로를 통하여 불법 복제되고 유통되었는지를 추적하는 기능이다.

     

    8. 유비쿼터스 컴퓨팅 이후

    정보혁명이라는 시각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제3의 물결이라 한다면,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다음 시대에 대한 가능성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인체 속에 컴퓨터를 내장하는 로봇시대, 즉 로봇과 인간이 공존하는 시대 등을 제4의 물결로 예측할 수 있다. PC가 랩탑형에서 노트북형으로 작아졌고, 주머니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도 대중화되었다. 또한 무선시스템의 원칩화가 실현되었고, 스마트폰에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최초의 착용 컴퓨터는 1955년에 재봉용 룰레트의 고안자에 의해 발상되었고, 1961년 라스베가스에서 클라우드 E. 섀넌과 에드워드 O.에 의해 시연되었다. 바이오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몸속에 실리콘이나 쇠붙이를 내장하는 수술들이 오늘날 빈번히 행해지고 있다. 인간의 몸속에 극초소형 컴퓨터의 내장에 대한 가능성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유비쿼터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비쿼터스개론 14  (0) 2023.02.08
    유비쿼터스개론 13  (0) 2023.02.07
    유비쿼터스개론 11  (0) 2023.02.07
    유비쿼터스개론 10  (0) 2023.02.07
    유비쿼터스개론 09  (0) 2023.02.06
Designed by Tistory.